티스토리 뷰
아주 보통의 하루 Very Ordinary Day
2025년 트렌드 코리아에서 주목하는 소비 트렌드 중 하나, 바로 “아보하”입니다.
'아주 보통의 하루'라는 뜻으로, 특별한 행복을 좇기보다 평범한 일상 속에서 만족을 찾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아주 보통의 하루란 무엇일까요?
어쩌면 사람마다 '보통'의 기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보통의 날'은 특별한 일이 없는 날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특별한 일'에는 좋은 일과 나쁜 일이 모두 포함될 수 있죠. 굳이 '아주'라는 단어를 붙여 '아주 보통의 하루'라고 하는 것은 특별히 좋은 일도 없었지만 무탈한 하루라고 생각해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아침에 일어나 밥을 먹고 출근, 일하고 퇴근 후 넷플릭스를 보다가 잠드는, 가족과 함께 하는 일상.
굳이 '행복'이라는 개념에 얽매이지 않고, 쟁취해야 할 그 무엇으로 여기지 않는 삶의 태도를 이야기하는 것이 바로 '아보하'입니다.
소확행에서 아보하로
한동안 '소확행'이 유행했습니다. '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을 추구하는 이 트렌드는 작지만 현재 체감할 수 있는 행복감을 좇는 경향을 말합니다. 많은 이들의 공감을 얻었고, SNS는 #소확행으로 가득 찼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소확행은 점점 과시의 도구로 변질되어갔습니다. SNS에서 '인증'되는 소확행은 어느새 남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되었고, 진정한 의미는 퇴색되어갔습니다.
이제 우리는 '아주 보통의 하루'를 이야기합니다. 아보하는 소확행과 달리 '행복'을 쉽게 내세우지 않습니다. 특별한 무언가를 갈망하지 않습니다. 대신 일상 그 자체에 만족하고 평범함을 즐깁니다.
아보하가 뜨는 이유
어쩌면 우리는 그동안 너무 앞만 보고 달려왔는지도 모릅니다. 행복이라는 단어조차 경쟁의 척도가 되는 것에 지쳐버렸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소소하든, 대단하든 인스타그램 속에서 증명하고 비교되는 행복 대신 내 곁에 있는 작고 소중한 것들에게 눈길을 돌리고 싶어진 것인지도 모르겠습니다.
'보통'의 특별함
아보하가 주는 의미를 찾다가, '보통'의 의미가 무엇인지 궁금해졌습니다.
한자로 '보통(普通)'은 '널리 보(普)'와 '통할 통(通)'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즉, '널리 통한다'는 의미로,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해당되거나 적용된다는 뜻을 내포합니다.
일반적으로 '보통'은 특별하지 않고 평범하다는 의미로 사용되지만, 이 평범함이 우리 삶의 근간을 이룹니다. 보통의 일상, 보통의 사람들, 보통의 순간들이 모여 우리의 삶을 구성하기 때문입니다.
특별한 순간은 순간적으로 빛나지만, 보통의 순간들은 우리 삶을 꾸준히 지탱합니다.
또한, '보통'이라는 기준이 있기에 '특별함'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보통'은 포용성을 지닙니다. 누구나 공감하고 이해할 수 있는 '보통'의 경험과 감정은 사람들을 연결하는 강력한 매개체가 됩니다. 결국 '보통'은 평범한 듯하지만, 우리 삶의 본질을 이루는 특별한 가치를 지닌 단어입니다.
“오늘 하루 괜찮았어?”
“어, 별일 없었어.”
하루를 마감하는 이 간단한 대화가 오늘날 사람들이 생각하는 행복의 기준이 되고 있다.
어떤 하루를 보내고 계신가요? 당신의 '아주 보통의 하루'는 어떤 모습인가요?
'소소한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랜드 스토리] 러쉬(LUSH) - 자연과 윤리를 담은 아름다움 (0) | 2025.02.24 |
---|---|
2025년 소비자트렌드 옴니보어: 소비의 새로운 지형 (1) | 2025.02.22 |
구하라법, 양육의무 저버린 부모는 상속배제 (0) | 2024.08.28 |
2024년 추석 기차표 예매 일정 - 코레일(KTX, 새마을, 무궁화호) (0) | 2024.08.19 |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 정당별 총선공약 - 사전투표 장소 쉽게 찾기 (0) | 2024.04.01 |
- Total
- Today
- Yesterday
- 나르시시즘
- 치매
- veryordinaryday
- 22대총선
- IRP
- 절제력
- 미루는습관
- 무탈한하루
- 세액공제
- 2025소비자트렌드
- KTX
- 연말정산
- 가면증후군
- 알츠하이머
- 2025소득기준
- 심리학
- 불안
- 네이키드제품
- 주택청약
- 소득공제
- 옴니보어
- 동기부여
- 아주보통의하루
- 학습된무기력
- 2025트렌드코리아
- 플라시보효과
- 에코이스트
- 나르시스트
- 임포스터신드롬
- 자기애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