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기 방해의 정의 자기 방해란 무의식적인 신념이나 두려움에 의해 목표를 향한 진전을 저해하는 행동과 사고 패턴을 말한다. 자기 방해 행동의 예로는 미루기, 완벽주의, 부정적인 자기 대화, 위험 회피, 불필요한 장애물 만들기 등이 있다. '자기 방해'라는 용어는 말그대로 자신의 발전이나 안녕을 고의적으로 훼손하거나 방해하는 행위의 본질을 포착하기 때문에 이 현상을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영어로는 self-sabotage라고 하는데 "사보타주"라는 단어는 프랑스어 "saboter 사보터"에서 유래한 것으로, "특히 정치적 또는 군사적 이익을 위해 고의적으로 무언가를 파괴, 손상 또는 방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용어는 우리가 본질적으로 자신의 길을 방해하고 성공이나 행복의 기회를 해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

한국과 핀란드의 행복지수를 비교해 봐야겠다고 생각했다. 어제 세계 행복 보고서 2023에 대한 글을 쓰면서 한국의 순위가 생각보다 너무 낮아서 약간 놀라기도 했지만, 실제로 주변에서 진정으로 행복하다고 말하거나 행동하는 사람을 잘 보지도 못한 것 같다. 그렇다면 핀란드는 왜 매번 1위에 등극을 하는 것인지 자세히 살펴봐야겠다 싶었다. 참고로, 점수가 가장 높은 1위 국가는 핀란드, 가장 낮은 137위는 아프가니스탄이다. 행복지수 2023 먼저 올해 보고서에서 한국의 순위에 대해 알아보자. 한국은 조사대상 137개국 중 57위를 차지했는데, 경제 성장과 발전을 고려하면 생각보다 낮은 순위다. 한국과 비슷한 순위를 기록한 국가로는 위로는 포르투갈, 말레이지아, 우즈베키스탄, 온두라스 등이 있고, 아래로는 그..

2023 세계 행복 보고서가 3월 20일에 발표되었다. 어느 국가의 국민이 가장 행복한지, 가장 불행한 국민은 어느 나라 사람인지, 우리는 어디쯤 있는지, 우리와 연관이 많은 나라의 국민들은 상대적으로 어떤 결과인지 궁금해진다. 이 보고서는 많은 언론에서도 뉴스가 될만한 좋은 재료가 되어 왔기 때문에, 이 보고서가 발표되고 나면 한동안은 행복에 대한 생각과 토론이 많아진다. 세계 행복 보고서 자세히 알아보기 세계 행복 보고서는 다양한 국가의 국민을 대상으로 정량적 조사를 통해 국민들의 주관적 행복과 웰빙 상태를 점수로 산출하여 국가별로 순위를 매기는 연례간행물이다. 유엔 지속가능발전 솔루션 네트워크(SDSN)가 작성하고 갤럽 세계 여론조사를 기반으로 하는 이 보고서는 2012년부터 발간되었으며, 국가 차..
- Total
- Today
- Yesterday
- veryordinaryday
- 세액공제
- 치매
- 옴니보어
- 동기부여
- 미루는습관
- 연말정산
- 가면증후군
- 소득공제
- KTX
- 2025소비자트렌드
- 아주보통의하루
- 네이키드제품
- 주택청약
- 절제력
- 무탈한하루
- 심리학
- 나르시시즘
- 2025소득기준
- IRP
- 알츠하이머
- 2025트렌드코리아
- 자기애
- 22대총선
- 임포스터신드롬
- 나르시스트
- 플라시보효과
- 불안
- 에코이스트
- 학습된무기력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